본문 바로가기
* 경제 정보 */부동산·전세

전세 묵시적 갱신 시 기존계약서 기재 요령 한눈에 보기

by 천재 곰돌이 정 2025. 5. 21.
반응형

전세계약 묵인갱신을 했더라도 은행에서 요구하는 '묵인갱신확인서류'를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따라 대출이 지연되거나 거절될 수 있습니다. 실전 작성법부터 은행 제출까지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계약서에 묵인갱신 내용 적는 법, 이것만 알면 충분합니다

계약은 말로만 해도 효력이 생깁니다.
그래도 은행은 '형식'을 원합니다.

 

전세기간이 끝났지만 서로 별다른 말 없이 그대로 사는 걸 ‘묵시적 갱신’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대출 은행은 이걸 증명하라고 하죠.

 

그래서 필요한 게 ‘묵인갱신 서류’입니다.
별도 양식이 없다면 기존 계약서에 기재하는 방식으로 충분합니다.


전세계약 묵인갱신서류 질문
전세계약 묵인갱신서류 질문

묵인갱신 내용, 계약서에 이렇게 적으세요

기존 전세계약서 하단 여백 또는 뒷면에 다음 문구를 손글씨 또는 프린트로 작성합니다.

본 계약은 별도 해지의 의사표시 없이 갱신되어, 전세계약 기간은 20XX년 X월 X일부터 20XX년 X월 X일까지 2년 연장됨. 당사자는 이에 동의함.

  • 임대인, 임차인 모두 자필 서명 또는 도장 날인
  • 날짜 기재 (갱신일 기준)
  • 수정할 경우, 지우지 말고 이중선 긋고 옆에 다시 작성

Tip. 가능하면 계약서 사본이 아닌 원본에 작성하세요.
은행은 서명과 날인 상태를 중요하게 봅니다.


전세계약 묵인갱신할 때 자주 생기는 오해들

반응형
  • 묵인갱신은 서류 없어도 유효하다?
    → 법적으로는 맞지만, 대출 등 행정처리엔 서류가 필요합니다.
  • 구두로만 합의해도 괜찮다?
    → 실제론 분쟁 소지가 있습니다. 문서화는 필수입니다.
  • 계약서를 새로 써야 하나요?
    → 아닙니다. 기존 계약서에 묵인갱신 사실을 적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묵인갱신이란 무엇인가요?
묵인갱신이란 무엇인가요?

실전 꿀팁. 상황별 대응법 정리

묵인갱신 사실만 필요한 경우

  1. 계약서 뒷면에 위 문구 작성
  2. 날짜, 서명, 도장 필수
  3. 은행에 계약서 사본 제출

집주인과 연락 안 될 때

  • 문자나 카카오톡으로 갱신 동의 내용 남기기
  • 캡처 후 출력해서 은행에 제출

서류 인정 안 해주는 은행일 경우

  • 부동산 중개사 통해 확인서 요청
  • '임대인 확인서' 양식 활용

전세계약 묵인갱신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반응형

전세계약 묵인갱신 서류 꼭 필요하나요?

은행 대출 등에는 필요합니다.

기존 계약서에 적는 방식 인정되나요?

대부분의 은행에서 인정됩니다.

임대인 연락 안 되면 어떻게 하나요?

문자나 기록 남기고 증빙자료로 제출하세요.

계약서 원본 없으면 어떻게 하죠?

사본에 기재하고 신분증, 입금내역 등 보완 제출하세요.

묵인갱신이 안 되면 자동으로 퇴거되나요?

아닙니다. 묵시적 갱신 상태로 전환됩니다.


계약서 이렇게 작성 하세요
계약서 이렇게 작성 하세요

핵심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전세계약 묵인갱신은 기존 계약서에 간단히 기재해도 유효합니다.
은행 제출용으로는 서명과 날짜가 명확해야 합니다.
연락이 안 되는 경우에도 기록만 남기면 증빙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반응형